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[생각정리스피치] ch.04~05
    도서 리뷰 2019. 3. 1. 21:00



    • 신선하고 다양한 재료에서 맛있는 요리가 만들어지듯, 이야기할 만한 재료와 소재가 풍성한 사람은 남들과 차별화된 스피치를 할 수 있다.

    • 소재는 무한하다.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항상 관심을 가지고 주변을 바라봐야 한다. 예리한 시각으로 다양한 의미를 찾아내야 한다.

    • 무엇을 버리고, 무엇을 남길 것인가? 머릿속에 보이지 않는 생각을 분류하는 행위를 '생각정리'라고 한다.

    • 스피치를 잘하고 싶다면 그냥 메모를 하는 게 아니라 '목적이 있는 메모'를 해야 한다.

    • 스피치 제작과정 : 계획 청중분석 메시지 선정 자료수집 대본 제작  PPT제작 리허설 실전

    • 스피치는 발표 직전까지 생각을 정리하는 과정의 연속이다. 성공적인 스피치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계획이 중요하다.

    • 스피치는 딱 아는 만큼만 전달할 수 있다. 주제에 대해 내가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정확히 구분해야 한다. 모르는 것을 인지한 만큼 준비할 수 있다.

    • 스피치는 청중 분석에서 출발한다. 청중이 누구인지, 무엇을 원하는지 알아야 맞춤형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.

    • 몸이 긴장하면 생각도 긴장하고, 몸의 긴장이 풀리면 생각도 풀린다.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'제대로 된 준비' '노력'이다.
    • 대본을 만들 때는 결론 본론 서론 순으로 만든다. '결론'적으로 하고 싶은 말이 무엇인지 정리한다. 그리고 논리적으로 '본론'내용을 설계한 후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는 '서론' 아이디어를 생각한다.



    맛있는 스피치 만들기!

    전 요리를 비교적 능숙하게 하진 못해요. 그래도 다행인 건 어떤 것부터 해야 하는지 정도는 알고 있다는 거예요. ‘어떤 음식을 만들까?’부터 고민하는 게 첫 번째 아닐까요. 그리고 그에 맞는 재료를 준비하고, 요리 시작! 조금은 서툴러도, 조금은 우스꽝스러워 보여도 내가 직접 만든 요리는 그 자체만으로도 뿌듯하고 맛있는 것 같아요. 그리고 그렇게 한두 번 하다 보면 어느새 자신감도 생기더라고요.

     

    스피치도 똑같답니다. 무슨 말을 하고 싶은지 정한 후 그에 맞는 소재를 찾는 거죠. 소재는 특별한 곳에서만 찾아야 하는 줄 아는데-물론 그럴 때도 있지만-사실 소재는 우리 주변에서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어요. 평소 관심을 갖고 살펴보면서 의미를 발견해보세요. 청중을 생각하며 소재를 발견하고, 생각을 정리하면 하나뿐인 나만의 스피치를 만들 수 있답니다. 그리고 잘 모르고, 긴장해서 떨리는 건 그냥 인정하세요. 인정하면 마음이 한결 편안해질 거예요. 잊지 마세요. 잘하려 하지 말고 준비한 대로만 해보는 거예요.



Designed by Tistory.